휘발성 유기화합물(탄화수소 함량 0.5%미만)과 심한 악취의 물질들을 소각 시키는 설비로서 97%
이상의 열을 재사용하는 경제적 설비로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하여 흡입가스 예열에 이용하기 위해
표면적이 넓은 세라믹 등의 축열재를 직접 가열하고 재생하는 장치입니다.
각종 유해가스 및 악취를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흡수.흡착하여 제거하는 장치로서
유체(GAS)분체가 분자층으로 구성된 고체표면(Surface of Solid)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흡착현상을 이용하면
스나 액체 또는 고체의 농도가 낮은 경우라도 일정한
흡착제를 사용하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설비비와 송풍용 전력의 운전비 이외 활성탄의 교체비용만 있는 등의 많은 이점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농도의 혼합취기의 제거용도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예성이엠씨는 기존 설비장치뿐 아니라 건설하는 새로운 장치와의 관련성과 신뢰성을 위해
사용목적에 따른 가장 적절한 활성탄과 방법을 선택하고 피흡착 물질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동시에 여러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설정조건을 설계 및 계획하여 산업현장에 맞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거의 모든 플랜트의 PRODUCT생산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나오는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배기가스에 환원제(암모니아 등)를
분사하여 촉매층을 통과시켜 상대적으로 저온인 250~400도에서 Nox의 환원반응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키는 시스템입니다.
SCR법은 촉매하에서 NH3,CO,탄화수소 등의 환원제를 사용하여 Nox를 N2로 전환시키는 기술로 환원제로 사용되는 암모니아가
독성과 부식성이 있어 누출을 방지해야 하고, SO3와 반응하여 황산암모늄이 생성되어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현재까지 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에 비해 신뢰성과 정화효율이 높아 상업적 질소산화물 처리
기술로 발전하였고 주로 보일러, 발전시설, 폐수/기물/가스 소각처리시설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환경오염 방지나 작업공간의 청결을 유지, 작업환경 개선의 위해 공기중에 떠도는 먼지
(고체,액체) 등을 모아 제거하는 시스템으로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 관성력, 원심력, 부착력, 친수력 및 전기력 등의 집진에 유효한 작용력에 따라
중력 집진창지, 관성력 집진장치, 원심력 집진장치, 음파 집진장치, 세정 집진장치, 여과 집진장치,
전기 집진장치 등으로 나뉘며, 포집된 입자를 물이나 그외의 액체로 제거하는 구조를 습식 집진창치로 구분됩니다.
※ 입자가 큰 먼지 집진시 : 중력, 관성력, 원심력 집진장치 사용(전처리용 – 저효율 집진장치)
※ 미세한 먼지 집진시 : 고성능 전기, 여과, 세정 집진장치 사용(후처리용 – 고효율 집진장치)
집진장치의 종류 | 처리입경 | 압력손실 | 집진효율 | 설비비 | 운전비 |
중력집진장치 | 50~1000um | 10~15mmAq | 40~60% | 소 | 소 |
관성력집진장치 | 30~70um | 30~70mmAq | 50~70% | 소 | 소 |
원심력집진장치 | 3~100um | 50~150mmAq | 85~90% | 중 | 중 |
여과집진장치 | 0.1~20um | 100~200mmAq | 90~99% | 중이상 | 중 이상 |
전기집진장치 | 0.05~20um | 0~20mmAq | 90~99.9% | 대 | 소~중 |
세정집진장치(벤투리) | 0.1~50um | 300~800mmAq | 85~95% | 중 | 대 |
분진을 배기해서 포집하는 장치로 배출가스 중, 이용한 원리로, 장치에 의한 통풍저항이 적고 압력손실이 적다는 이점이 있지만 분진의 입자가 크지 않으면 포집할 수 없고, 집진효율은 40~60% 라는 단점이 있다.
특징
. 압력손실이 적다.
. 전처리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비 및 설치비용이 경제적이다.
. 부하가 높은 가스 및 고온가스 처리에 용이하다
. 미세한 입자의 포집효율이 낮다.
. 먼지부하 및 유량변동에 적응성이 낮다.
. 주로 50um 이상의 조대입자의 집진에 사용된다.
. 처리 가스속도: 1~2m/s
함진가스 기류에 충돌이나 반전 등의 급격한 방향 전환을 향해 매진 입자에서 생기는 관성력과 원심력으로 가스와 입자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10~수십 μ정도의 조립자 포집에 사용되며, 압력손실은 10~100mm 수주 정도이다.
특징회전운동을 하는 장치로 원심력과 관성을 이용하며, 가장 많이 쓰이는 싸이클론 집진기가 여기에 해당
특징
. 작용하는 집진력은 원심력, 관성력, 중력등이다.
. 구조가 간단하고 가동부가 없다.
.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 사용범위가 광범위하다
. 분리한계 입경이 큰편이다.
. 전처리 장치로 활용 가능하다.
. 압력손실: 50~150mmH2O
. 집진효율: 85~95% = 전처리 집진장치 중 효율이 가장 우수함.
. 처리 가스 속도: 7~15m/s
필터를 이용하는 집진장치로 여과포를 이용하여, 먼지입자를 모으는 방법
특징
. 미세입자에 대한 집진효율이 높다
. 여러가지 형태의 분진을 포집 가능하다.
. 집진율에 비하여 시설비 및 유지비가 적게 든다.
. 다양한 용량 처리가 가능하다.
. 수분, 여과속도에 적응성이 낮다.
전기를 띠고 있는 기체나 액체속의 미립자를 강한 전기장으로 빨아들여 가라앉히는 장치.
특징
. 미세입자에 대한 집진효율이 높다.
. 낮은 압력손실로 대량가스처리가 가능하다.
. 재생성 분진은 건식으로 훈연이나 연무는 습식으로 집진이 가능하다.
. 광범위한 운도범위에서 설계가 가능하다.
. 비교적 운영비가 적게 든다.
액적, 액막기포 등을 이용하여 함진가스를 세정 시킴으로써 입자의 부착, 상호 응집을 촉진시켜 먼지를 분리 포집하는 장치 유수식, 가압수식, 회전식으로 나뉘며 대표적인 장치로는 유수식 에어 텀블러, 습식 임핀지먼트가 있다
특징
. 가연성, 폭발성 먼지를 처리할 수 있다.
. 단일장치에서 가스흡수와 분진 포집이 동시에 가능하다.
. 미스트 처리가 가능하다.
. 고온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
. 부식성 가스와 먼지를 중화시킬 수 있다.
. 좁은 면적에 설치가능하다.
. 같은 성능의 집진장치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다.